서울에서는 차가 있으면 주차 공간, 차량 유지비, 주차 요금 등 나가는 돈이 너무 많아서
저는 대중교통을 애용하는데요. 일주일에 이틀은 조금 멀리 출퇴근하느라 거리에 따른 요금이 더 나와요.
사실 저는 자체적 주4일제로 일하고 있지만 교통비는 풀 출근하시는 분들에 못지않을 정도로 나옵니다...하하
그래서 저도 올해에는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어요.
저는 따릉이를 타지 않아서 월 62,000원에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절되는 비용이 은근히 쏠쏠하더라구요~
그런 기후동행카드가 5개월간의 시범 사업을 마치고, 7월부터 본사업이 시작된다고 합니다.
기후동행카드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따른 시민의 교통비 부담 완화라는 두 가지 목적을 위해 도입한 대중교통 정기권입니다.
따릉이 포함 시 월 65,000원 / 따릉이 미포함 시 월 62,000원을 지불하고 30일 동안 서울 시내의 지하철과 버스(심야버스 포함), 따릉이(선택)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김포골드라인은 가능하지만, 신분당선과 서울 지역 외의 지하철이나 광역버스는 불가합니다. 그리고 청년 대상(만 19세~39세)으로는 각각 55,000원과 58,000원으로 할인 혜택도 제공하고 있다고 해요!
주 5~6일 출퇴근/장거리 대중교통 이용 출퇴근/잦은 약속에 해당이 된다면 아무래도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시는 것이 이득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처음 기후동행카드가 나왔을 땐 가는 데마다 매진이어서 정말 무슨.... 허니버터칩 대란을 방불케 했던 기억이....... 시행 70일 만에 누적 판매 100만 장을 기록하고, 평일 하루 평균 기후동행카드 이용자는 54만 명에 달한다고 하니 정말 어마어마하네요~
서울시가 기후동행카드 본사업을 시행하기 전, 이용 데이터를 분석해 본 결과 1인당 월평균 약 3만 원의 교통비 절감 혜택을 누리는 것으로 추산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장 주요한 목적인 승용차 운행을 감소시켜서 온실가스를 감축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시범 사업 기간이었던 지난 4개월 동안 약 9270톤이 감축된 것으로 추정했어요. 4개월 만에 어마어마한 목적 달성을 한 셈이네요~ 올해 상반기 시도별 정책 중 가장 주목받았던 사업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
5개월간의 시범 사업을 마치고 7월 1일부터 기후동행카드의 본사업이 시작됩니다.
참, 가장 중요한 혜택은 올해 10~11월 예상되는 수도권 지하철 요금 150원 추가 인상 후에도 가격은 그대로 유지가 된다고 합니다!!! 야호~:)
7월 1일부터 본사업 시작과 더불어 실물카드의 디자인도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원래 기후동행카드의 메인 심볼이었던 뫼비우스의 띠 모양과 더불어 서울을 상징하는 해치와 소울프렌즈를 적용하여 친근감을 더했습니다. 기존 카드도 교체 없이 일반권, 청년권, 관광객욕 단기권 등 필요에 따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사업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데요, 앞으로는 사용 가능 지역도 더욱 확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3월에는 김포골드라인을, 현재는 고양시와도 협약을 체결했다고 하니 경기-서울 출퇴근자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곧 들려올 듯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서울 근교의 도시가 동참의사를 밝히면 적극 협조하여 수도권 시민들이 혜택을 누리도록 한다 하니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서울시민이라면 기후동행카드를 무조건 이용할 수밖에 없겠네요^^
기후동행카드 실물카드 판매처
기후동행카드 실물카드 판매처
기후동행카드 판매처 현황
news.seoul.go.kr
기후동행카드 사용법은
↓ ↓ ↓ ↓ ↓ ↓ ↓ ↓ ↓ ↓ ↓ ↓ 여기에서 확인하세요!
기후동행카드 사용법 안내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 카드사용법 안내 2024.01.27.~06.30.
news.seoul.go.kr
알아두면 쓸모있는 생활 꿀팁(욕실 청소 편) (0) | 2024.07.04 |
---|---|
2024년 한강 수영장, 물놀이장 운영 안내(위치, 운영 기간, 입장료, 준비물) (2) | 2024.07.03 |
올바른 방충망 사용법 (0) | 2024.07.01 |
7월부터 바뀌는 서울시 폐비닐 분리배출 방법 (개정) (0) | 2024.06.28 |
맛있는 여름제철 과일 고르는 방법, 보관법 (수박, 참외, 복숭아, 포도) (0) | 202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