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여름철 에어컨 전기세 절약 꿀팁!

생활 정보

by 텔라 2024. 6. 15. 10:39

본문

 

이번주 내내 날씨가 너무 더워요ㅠㅠㅠㅠ

6월부터 이러면 어쩌자는거죠....?

그래서 더욱 팡팡 틀게 되는 에어컨....

여름은 에어컨 사용 때문에 4계절 중 전기세가 가장 많이 나오는 계절입니다.

그래서 누진세도 걱정되고요....

덥다 더워 하면서 에어컨 생각없이 마구 틀다가 전기요금 보고 화들짝 놀라는 경우도 많으시죠?

저희집에는 고양이님이 계셔서 에어컨을 더욱 자주 틀 수 밖에 없는데요,

에어컨 전기세를 어떻게 하면 낮출 수 있을까... 

다들 들어보신 적 있으실거에요. 에어컨을 '냉방' 말고 '제습'으로 켜라, 껐다 켰다 하면 전기세 더 나온다~ 등등

무수히 많은 에어컨 전기세 절약에 관한 소문....

오늘은 정확한 팩트체크를 통해 에어컨 전기세 절약 꿀팁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강풍으로 에어컨 켜기

에어컨을 처음 켤 때 바람의 세기를 강풍으로 틀어두는게 에어컨의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는 꿀팁이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말이죠~~~

처음에 에어컨을 강풍으로 틀면 희망온도에 빨리 도달하게 되겠죠??

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여 실외기 작동이 멈춘 이후에는

약풍으로 설정하여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2. 한 번 켠 후 오래 틀어두기

실험을 해봤더니 오히려 적당한 온도(24~26도)로 맞추어두고 오랜시간 틀어두는 것이

에어컨을 켰다, 껐다 하는 것 보다 전기세 절약에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구요!

에어컨을 켰다 껐다 하면 오히려 전력 소비량이 많아져서 전기세가 더 나온다고 합니다..

단, 사용하는 에어컨이 인버터형 에어컨인지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국내의 경우에는 2011년 이후 출시된 에어컨은 대부분 인버터형이라고 하니 참고하세요~~

정속형 에어컨은 2~3시간 간격으로 켰다, 껐다 반복하는 것이 에어컨 전기세를 절약하는 방법입니다!

 

  • 정속형 에어컨 : 설정한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낮을 경우 실외기가 돌다가, 설정한 온도만큼 낮아지면 실외기가 꺼집니다. 그러다 실내온도가 다시 높아져 설정한 온도보다 높아지면 실외기가 다시 돌기 시작합니다.
  • 인버터형 에어컨 : 설정한 온도만큼 실내온도가 낮아지면 정속형 에어컨과 달리 실외기 작동이 멈추지 않고 절전모드를 유지하며 계속 에어컨이 가동됩니다.

  • 에어컨 종류 확인하는 방법
    1) 에어컨 외관으로 알아보기 : 에어컨 외관에 Inverter 라고 적혀있으면 인버터형 에어컨입니다. 보통 최신 에어컨들은 인버터형임을 강조하기 위해서 잘 보이는 곳에 표기를 해두곤 해요.
    2) 생산년도로 알아보기 : 2010년에 들어서부터는 거의 모든 신형 에어컨은 인버터형으로 생산이 되고 있습니다. 2011년 이전에 구입한 모델이라면 정속형 에어컨이니 참고해주세요!
    3) 모델명으로 구분하기 : 인터넷에 에어컨 모델명을 검색하여 해당 모델의 상세 페이지를 확인해주세요. 상세 페이지에 '초절전 인버터' 또는 '듀얼 인버터' 등 '인버터'라는 말이 들어가는지 확인을 해주시면 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제품 별 모델명으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LG-모델명의 2~3번째가 W 또는 Q로 되어있으면 인버터형, C면 정속형입니다.
    삼성-모델명에 K가 포함된다면 인버터형입니다.
    캐리어-모델명에서 V는 인버터, F는 정속형입니다.
    4) '전기 용품 안전 관리법에 의한 표시' 확인하기 : 에어컨에 부착되어있는 전기 용품 안전 관리법에 의한 표시를 확인해 보았을 때 냉방능력, 소비 전력이 정격/중간/최소 로 나뉘어 있으면 인버터형 에어컨입니다.

 

 

3. 필터 및 실외기 청소하기

에어컨 전기세를 절약하는 방법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에어컨의 냉방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인데요, 

이를 위해서는 2주일에 한 번 정도 에어컨 필터를 청소해주어야 합니다. 에어컨 필터에 먼지가 쌓이게 되면

차가운 공기를 만드는 데 방해가 되므로 주기적으로 필터 청소가 필요합니다.

또한 필터 뿐만 아니라 실외기도 관리를 해주셔야 합니다. 

실외기의 공기 배출구에 먼지가 쌓이거나 물건이 놓여 있는 경우에는 에어컨의 더운 공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되지 못해서 전력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실외기는 그늘진 곳에 설치하는 곳이 좋은데,

만약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은박 돗자리로 차광막을 설치하는 것도 에어컨 전기세를 절약하는 좋은 꿀팁이라고 합니다.

여러 쇼핑몰에 찾아보면 실외기 햇빛 가리개가 많이 팔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가격도 저렴하니 구매하여 써보시는것도 좋을 것 같아요~

 

 

 

4. 선풍기 또는 써큘레이터와 함께 사용하기

에어컨 사용시 선풍기나 써큘레이터와 함께 사용하면

시원한 공기가 실내에서 잘 순환되어 효율적으로 냉방효과를 볼 수 있답니다.

창문을 닫고 선풍기나 써큘레이터와 에어컨을 함께 사용할 경우 최대 20%까지 전기를 아낄 수 있다고 하니

꼭 함께 사용해주세요!!

 

 

5. 에어컨 날개를 위로 향하게 하기

에어컨 사용에 따른 전기세 절약을 위해서는 풍향에도 신경을 쓸 필요가 있습니다.

에어컨 날개를 위로 향하게 하면 실내의 윗부분을 채우고 있던 더운 공기를 먼저 식히고

전체적인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공기의 순환을 도와 차가운 공기를 아래로 내려보내고

더운 공기를 위로 올려보내기 때문에 실내의 온도를 더욱 빠르게 내려가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니 꼭~~ 기억해주세요.

 

 

 

6. 에어컨 미사용시 코드 뽑아두기

여름철 에어컨 전기세 절약 꿀팁의 마지막 방법입니다.

에어컨의 전원을 끈 상태에서 코드를 꽂아놓고 있게 되면 대기전력으로 인해 전기세가 계속해서 발생한다고 해요.

그러니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꼭 코드를 뽑아두세요~~

 

 

 

 

 

지금까지 여름철 에어컨 전기세 절약 꿀팁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아무래도 전기세 절약을 하려면 냉방효율이 높을 수록 좋겠죠? 실내가 빨리 시원해지면 에어컨을 끄거나, 희망 온도를 높이거나 바람세기를 낮춰서 전기세가 덜 나오도록 할 수 있으니까요~~

지난번에 포스팅 했던 써큘레이터의 효과도 한번 같이 봐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2024.06.11 - [생활 정보] - 선풍기 vs 써큘레이터 구분하기

 

선풍기 vs 써큘레이터 구분하기

선풍기 vs 써큘레이터 구분하기  본격적으로 여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제가 있는 서울은 오늘 31도를 찍고...이번주도 내내 더울 것으로 예상.....(으악 ㅇ저희집은 아주 시원한 편이라 지금까

commonday.co.kr

 

 

그리고 더불어서 저번에 포스팅 했던 한전 에너지캐시백도 미리 신청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4.06.05 - [생활 정보] - 한전 에너지캐시백으로 전기요금 할인 받기

 

한전 에너지캐시백으로 전기요금 할인 받기

한전에서 시행하고 있는 에너지캐시백은 전기 사용량을 절약할 경우그만큼에 해당하는 캐시백을 주는 제도입니다 :-) 작년부터 전기세가 슬금슬금 인상이 되었지요? 또한 여름철에는 에어컨,

commonday.co.kr

 

 

이번 포스팅은 이만 마치겠습니다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