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사는 저는 한 달에 한 번 정도 경남쪽 갈 일이 있어 고속버스를 타는데요,
보통 금요일 낮에 내려갔다가 일요일 오후에 올라오곤 합니다. 그때마다 버스에 사람이 아주 많아요.
매진 버스도 정말 많아서 임시버스도 종종 생기고요.
그동안 남쪽지역은 휴가로 부산을 가지 않는 이상 정~~~말 갈 일이 없던 저는
고속버스 이용량을 보고 너무 놀랬더랬죠.. 서울과 경상도쪽으로 왔다갔다 하는 분들이 이렇게나 많구나 라고 느꼈거든요.
또한 제 주변 지인들만 봐도 자가용이 있으신 분들은 경기 남부권인 수원, 안성 등에서 서울로 출퇴근 하는 분들이 꽤 있었어요.
여튼 저처럼 주기적으로 고속버스를 이용하시거나 자가용으로 움직이시는 분들께 알려드립니다 !
두가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말과 공휴일에 운영되었던 영동고속도로의 버스전용차로가 2024년 6월 1일 이후로 폐지됩니다.
가장 큰 원인은 버스 운행이 많지 않고, 일반차로의 정체만 일으킨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라고 하네요.
영동고속도로의 버스전용차로는 2017년 7월 29일부터 주말, 공휴일, 명절에 시행되었습니다. 2018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한 이동에 대비하고, 수도권과 강원지역을 오고가는 대중교통 활성화 목적이었는데요, 좋은 취지에서 시작이 되었지만 일반차로의 정체를 가중시킨다는 불만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2021년 2월 22일부터 원래 신갈Jct~여주Jct(41.4km)였던 영동선 버스전용차로가 신갈Jct~호법Jct(26.9km)로 구간이 축소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동선 버스전용차로의 폐지 요구는 계속되었다고 하네요..
또한 영동선은 국토부에서 정한 버스전용차로 운영기준에도 미치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수도권과 영동권을 오갈 때 서울양양고속도로나 KTX, 제2영동고속도로 등의 대체수단이 많은점에 따라 국토부는 영동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폐지를 결정했다고 합니다. 주말에 엄청나게 막혔던 영동고속도로가 버스전용차로 폐지로인해 1차로를 일반 승용차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주말 고속도로의 지체 및 정체 현상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제로 영동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가 폐지된 후의 CCTV 화면을 보니
서용인분기점 구간까지는 지체가 발생하는 현상도 보였지만 그 외 구간들은 시원~~하게 달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영동고속도로의 버스전용차로 폐지로 인한 효과 바로 실행되었네요!
반면, 현재 평일 양재IC~오산IC(39.7km)까지 운영중인 경부선 버스전용차로는 2024년 6월 3일부터 양재IC~안성IC(58.1km)까지 연장됩니다. 시간은 오전7시부터 오후 9시까지입니다.
경부고속도로는 최근 수도권과 경기남부, 충청, 세종권 사이의 출퇴근 수요가 늘어나면서 평일에 버스전용차로를 연장해야한다는 요구가 많았다고 해요.
주말과 공휴일 구간인 양재IC~신탄진IC(134.1km)는 기존대로 유지가 될것이고요,
버스전용차로가 연장됨에 따라 경찰청은 3개월간의 계도기간을 두고 경부선의 평일 버스전용차로 위반 단속을 하여 벌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하니 참고부탁드립니다!
고속도로 이용자들이 버스전용차로를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5월 초부터 고속도로의 전광판, 휴게소의 현수막, TC, 라디오 등에서 교통방송을 통해 조정 내용 및 시행일을 안내하고 있으며, 조정일 이후로도 계속해서 안내를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평일에 경부선 이용하는 분들께선 유의하셔야겠어요~~
그동안 영동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폐지에 대해 효과가 없으니 폐지해야한다, 측정기관마다 다르게 나오는 버스교통량에 대한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 등 이런저런 말이 많긴 했지만
결과적으로 영동고속도로의 버스전용차로를 폐지를 하게 되었네요. 이에 따른 긍정적, 부정적 반응이 공존하고 있긴 하지만, 첫 날엔 예상한 대로의 교통 흐름으로 효과를 보였습니다. 실질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네요! 국토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서 앞으로 효과가 더 잘 나올지~ 아니면 또 다른 변수가 생길지는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그럼 이만,
영동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폐지 와 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확대, 연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모두들 헷갈리지 마세요~~^^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풍기 vs 써큘레이터 구분하기 (0) | 2024.06.11 |
---|---|
모기를 피하는 방법(feat. 모기 기피제와 색깔) (0) | 2024.06.09 |
한전 에너지캐시백으로 전기요금 할인 받기 (0) | 2024.06.05 |
건전지 누액 원인과 제거 (0) | 2024.05.29 |
구청에 벌레 방역 요청 민원넣기 (0) | 2024.05.26 |